loading
알쓸잡 / / 2021. 4. 8. 17:56

경제용어 - 통화량 지표 (M1, M2, M3)

반응형

 

#오늘의공부

통화량 지표 M1, M2, M3

근로소득과 자본소득의 격차가 심해지고 있는 지금의 자본주의 시대에서 나의 경제 공부가 얼마나 늦었는가를 반성하게 된다.

M1 협의통화

출처 : 네이버

협의통화(M1)이란,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 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언제라도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을 더한것을 말한다.

쉽게 말해 내 수중에 있는 현물 돈을 말한다고 보면 된다.

ex. 지폐, 동전, 통장에서 바로 인출할 수 있는 돈

M2 광의통화

출처 : 네이버

광의 통화란,

협의 통화(M1)에 예금취급기관의 정기예금, 정기적금 등 기간이 정해져 있는 정기예적금 및 부금, 금융채, ㅈ시장형 상품, 실적배당형 상품 등을 포함한 것이다.

즉, 협의 통화와 같이 바로바로 당장 쓰는 돈이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재산을 불리기 위한 돈의 범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L 광의유동성

출처: 네이버

광의유동성(L)이란 한 나라의 경제가 보유하고 있는 전체 유동성의 크기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해당 돈의 범위로는 국채, 회사채와 같은 채권 등이 있다.

광의 유동성 지표는 한국 은행이 매월 우리 나라 경제의 전체 유동성 크기를 측정하기 위해 발표하는 지표이다.

*****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로 경기 부양책을 통해 통화량이 엄청나게 증가하였다.

이렇게 통화량이 늘어나 돈의 가치가 하락하고, 자산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내 소득은 그대로이지만 돈의 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에 점점 가난해지고 있는 것이다!

자산을 보유하여 재산을 증식하여야 한다.

월급에만 기대어 투자를 하지 않는다면 재산 증식이 불가능 하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