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알쓸잡 / / 2022. 10. 14. 23:27

코로나 완치후 재감염 확률?

반응형

 

 

다시 쌀쌀한 날씨가 다가오면서 감기인지 코로나인지 모를 불안감을 또 다시 느끼게 되는데요.

이미 코로나백신은 접종하였지만, 

그리고 코로나 완치도 되었지만, 다시 감염되는 사례가 종종 있어 오늘은 

코로나 완치후 재감염 될 확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시간 코로나 상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ncov.kdca.go.kr/

출처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이트

 

코로나 완치후 재감염

코로나 완치후 재감염이란, 기존에 코로나 바이러스 양성 확진을 받은 후 90일 이후에 다시 양성 반은이 나온 것을 뜻합니다. 

유럽에서는 강력한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으로 2020년 4월에 7%대까지 올라갔던 치사율이 2021년 11월 기준으로 2%대로 급락하였습니다. 오미크론 변이로 오면서는 감염 전파 차단이 불가능할 정도로 감염 확산세가 심각하였지만, 그에 반해 치명률이 매우 낮아져서 2022년 초부터 유럽 각국에서는 사실상 종식에 가까운 일상 회복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현재 유럽에서는 병원, 요양원, 약국 등 특정 시설 외에는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지 않는 국가가 여러 곳 입니다.

 

코로나 재감염 증상

현재 대부분 감염이 보고되고 있는 오미크론 BA4와 BA5 바이러스 감염의 흔한 증상은 콧물, 인후통, 두통, 지속적인 기침 및 피로이며, 1/3 미만의 발열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코로나는 발열을 동반한 두통, 기침, 인후통에서 증세가 심각하면 폐렴 및 호흡곤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나, 오미크론 BA4와 BA5의 대부분은 찌르는 듯이 아픈 인후통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대체적으로 코로나 재감염일 경우 첫 확진 시 나타났던 증세보다는 경미한 증세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재감염 기간은 얼마?

코로나 바이러스 첫 확진 후 90일 이후 다시 양성이 발견되었을 경우.

혹은 45~89일 사이에 확진이면서 증상이 재발현되거나, 확진자와 접촉한 경우

(현재 질병청에서는 45일 이전은 '재감염'이 아니라 '재검출'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재감염 확률은 얼마?

오미크론 변이의 재감염 확율은 오미크론 변이 이전보다 위험성이 더 높습니다. 

또한 동일한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재감염이 아닌, 오미크론에서 더 진화된 변이체로의 재감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백신 접종을 하였지만 코로나 확진 판정을 받으신 사례를 통해 볼 수 있듯이,

바이러스가 계속 진화되고 있어, 진화된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이 일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었다가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재감염되는 사례를 예로 들 수 있겠습니다.

 

코로나백신 접종 권장

코로나 백신 바이러스 접종 또한 예방 접종으로 인해 면역 항체가 생성되어 몇 개월의 기간 동안은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나, 전문가에 의하면 일정 기간 후, 추가 접종을 통해 재감염 예방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 완치 후에도 예방 접종을 완료하기를 권장하고 있습니다. 

출처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이트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